본문 바로가기

잡담

SCPC 2020 본선 후기

4등!

 

SCPC 4등상을 수상했다.

 

운이 좋아서 5등상을 겨우 수상했던 작년과는 달리, 지금 내 실력에 맞는 결과가 나왔다고 생각한다.

 

이번에는 예선, 본선 전체적으로 난이도가 수직상승 했다.

올해 2차예선이 작년 본선과 난이도가 비슷했거나 더 어려웠던것 같다.

아마 작년에 2시간 올솔이 나온 탓에 난이도 조절을 한게 아닌가 싶은데,

문제 자체의 난이도가 올랐을뿐만 아니라 구현량도 많아진 탓에 역대급 난이도의 대회가 되었다.

 

이번 대회는 SCPC 첫 온라인 대회라 문제풀이 이외도 생각해야 하는 부분이 많았다.

 

가상 데스크탑으로 접속하여 문제를 풀고 동시에 폰카메라로 내가 참가하는 모습을 송출해야 했는데,

이를 참가자가 올바르게 조작해야 했기 때문에 적응이 필요했다.

다행히 2번의 예비소집으로 연습을 시켜주었기 때문에 큰 문제는 없었다.

또, 예비소집 때는 큰 문제가 없었지만 본선에서 가상 데스크탑을 이용해 코딩을 할 때 렉이 걸리는 현상이 있었다.

간헐적으로 드래그하는데 1초 이상의 시간이 걸리는 일이 있었고, 왠진 모르겠지만 화면이 거의 15초 정도 멈췄을 때도 있었다.

코딩을 하는데 방해가 될 정도의 수준이었기 때문에, 이러다 에러나서 날라가는게 아닌지 두려움에 떨며 코딩해야했다.

 

마지막으로 화장실 문제가 있었다.

화장실은 대회 시작 1시간 후부터, 대회 중 2번, 한번에 10분씩 사용해 갔다올 수 있었다.

많은 사람들이 시험 시작 직전에 화장실을 갔다 와야겠다고 생각하고 있었을텐데,

대회 시작 1시간 전의 오리엔테이션 (주변 환경 확인 등)이 끝나고 나서는 화장실을 갈 수 없다고 했다(!).

결국 아무 생각없이 오리엔테이션을 마친 불쌍한 참가자들은 그 자리에서 2시간동안 참아야 했다.

 

이렇듯 약간의 잡음이 있었지만 운영 자체는 매우 좋았다.

나누어준 본선대회 참가자 매뉴얼 북에 각 시간마다 참가자가 무엇을 해야하는지, 돌발상황에는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매우 자세하게 써있었기 때문에, 큰 걱정 없이 대회에 임할 수 있었다.

필요한 장비(삼각대)도 아주 크고 아름다운 것으로 보내주었기 때문에, 카메라 설치에도 문제가 없었다.

 

후에 치른 ICPC에서 보내준 매뉴얼과 장비, 운영에 비교하면 정말 좋은 운영이라고 할 수 있었다.


타임라인

먼저 1번 문제를 풀었다.

 

본선에 올라왔는데 이 문제를 못 풀었다면 치팅을 의심해봐야 한다.

 

0:08 1번 만점

 

 

다음은 2번를 봤는데, 문제를 읽자마자 숨이 턱 막히는 것을 느꼈다.

풀이가 바로 떠오르지 않아서 다른 문제들도 보고 왔지만 다른 문제들은 더 어려운 문제들이었기 때문에 2번에 집중하기로 했다.

하지만 도저히 200점 전부를 긁을 방법이 떠오르지 않아서, 결국 나이브하게 SCC를 m번 만드는 풀이를 우선 제출했다.

 

2:53 2번 72점

 

그 와중에 2번 지문이 조금 잘못되어서, 대회 시간이 10분 연장되었다.

 

이 쯤 만점자 상황을 봤는데, 2번 문제 만점자가 10명대였고, 3번 이후로는 아예 없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나만 망한게 아니라는 생각에 조금은 안심했다.

 

일단 다른 문제들을 돌면서, 부분점수들을 다 긁어 오기로 했다.

 

 

3번 문제를 봤다. 정말 아무 풀이도 생각나지 않았다.

아무생각없이 O(n^3 logn) 브루트 포스를 짜서 제출했다.

 

3:19 3번 56점

 

 

4번 문제를 봤다. 이건 부분점수를 긁을 방법도 떠오르지 않아서, 그대로 패스했다.

 

5번 문제를 봤다. n이 20이하인 부분 문제가 있었고, 바로 bitmask DP코드를 제출했다.

 

3:37 5번 63점

 

 

이제 더 긁을 수 있는건 없다고 생각했다.

 

2번 문제를 O(tmn)으로 푸는 방법을 결국 떠올렸는데, 시간제한이 매우 애매해서 조금 더 고민했다.

지금까지 SCPC에서 쓸데없는 상수최적화 문제를 많이 냈다는 사실과, O(tmn)풀이의 상수가 1 이하라는 점을 토대로 결국 믿음의 제출을 해보기로 했고, 풀이를 작성해 제출했다.

 

4:09 2번 만점

 

마지막으로 5번의 부분 문제를 조금 더 긁을 수 있지 않을까 싶어 급하게 나이브한 코드를 짜서 제출했는데, 아쉽게도 틀렸다.

 

 

그렇게 각각 100-200-56-0-63점, 총 419점으로 대회를 마무리했다.

'잡담' 카테고리의 다른 글

OPIc IM2 달성  (0) 2020.12.27
2020 ACM-ICPC Seoul Regional 본선 후기 + α  (4) 2020.11.23
요즘 글이 안올라오는 이유  (1) 2020.10.30
2020 ACM-ICPC Seoul Regional 예선 후기  (1) 2020.10.14
일하기 싫다  (0) 2020.09.16